정규과정

정규과정

    교육과정

    구분 학습내용
    초급 1 정형화된 표현을 이용해 일상생활에서 매우 간단한 의사소통(자기 소개, 인사, 물건 사기 등)을 할 수 있다. 기초적 어휘와 간단한 문장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 가장 기본적인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를 이해하고 자국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다.
    초급 2 기초 어휘와 단순한 문장을 이용해 일상생활에서 자주 마주치는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일상생활에서 자주 다루는 개인적・구체적 주제에 대해 간단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. 기본적인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를 이해하고 자국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다.
    중급 1 일상생활에서 자주 마주치는 문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으며, 친 숙한 사회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. 친숙한 사회적・추상적 주제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간단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. 문어와 구어를 어느 정도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. 대부분의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와 대표적인 행동 문화, 성취 문화를 이해하고 자국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다.
    중급 2 친숙한 사회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으며,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기본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. 친숙한 사회적・추상적 주제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비교적 유창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. 문어와 구어를 적절히 구분해 사용할 수 있으며, 대상과 상황에 따라 격식체와 비격식체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. 한국의 대표적인 행동 문화, 성취 문화를 이해하고 자국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다.
    고급 1 덜 친숙한 사회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으며, 자신의 업무나 학업과 관련된 기본적 의사소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. 친숙하지 않은 사회적・추상적 주제 및 자신의 직업이나 학문 영역에 대해 간단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. 공식적인 맥락에서 격식을 갖추어 의사소통할 수 있다. 한국의 다양한 행동 문화, 성취 문화 및 대표적인 관념 문화를 이해하며 자국의 문화와 비교하여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다.
    고급 2 덜 친숙한 사회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있으며, 자신의 업무나 학업과 관련된 의사소통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다. 친숙하지 않은 사회적・추상적 주제 및 자신의 직업이나 학문 영역에 대해 비교적 유창하게 다룰 수 있다. 한국인이 즐겨 사용하는 담화・텍스트 구조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. 한국의 다양한 행동 문화, 성취 문화, 관념 문화를 이해하며 자국의 문화와 비교하여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다.